안녕하세요~
오늘은 2020년 최저시급을
209시간으로 계산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
최저시급이 궁금하면
네이버에 검색하면 그냥 나오긴 하는데
시급을 월급으로 계산했을 때
왜 209시간으로 계산하는지
저도 정말 궁금했습니다.
하루 8시간, 주 5일 근무를 할 때
최저시급을 주급으로 계산하면
8,590 x (8 x 5 + 8 x 1(유급휴일))
=8,590 x 48시간
이 나옵니다.
그런데 시급을 월급으로 계산하면
209시간으로 계산한다고 나옵니다.
응?
48 x 4 = 192
48 x 5 = 240
4주도 아니고
5주도 아니고
4주와 5주 사이의 그 어딘가를
곱한 시간을 월급으로 계산하는 이유가 뭘까요?
1주일이 1년에 몇개 있는지
계산기로 나누어서 적용해서 그렇습니다.
365일을 7로 나누면 52.142....가 나옵니다.
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해야 합니다.
1년은 약 52.14주로 이루어져 있고
한 달에 몇주로 나누어지는지
52.14 / 12달을 계산하면
한 달은 4.345주를 가지는 것으로 나옵니다.
반올림!!
하면 4.35주 군요.
일주일 근로시간 48시간과 곱하면
48 x 4.35 = 208.8
반올림!!
209시간
최저시급을 주휴수당 포함
주급으로 바꾸면
8,590 x 48시간 = 412,320 이고
이때 유급휴일을 제외한
주 근로일은 8 x 5 = 40시간 이고
유급휴일은 8 x 1 = 8시간 이므로
최저시급 주급제의 주휴수당은
8,590 x 8 = 68,720
최저시급을 주휴수당 포함
월급으로 바꾸면
8,590 x 209시간 = 1,795,310 이고
이때 유급휴일을 제외한
월 근로일은 40 x 4.35 = 174시간 이고
유급휴일은 8 x 4.35 = 34.8 → 35시간 이므로
최저시급 월급제의 주휴수당은
8,590 x 35 = 300,650
300,650 / 4.35 = 69,114
주급제와 월급제의
주휴수당에는 약 400원 정도의
차이가 존재하는군요.
https://mooninfor.tistory.com/20
주휴수당에 대한 자세한 정보
유익한 정보 되셨나요?
감사합니다^^
'노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연근무제 : 탄력근무제 (0) | 2020.03.17 |
---|---|
유연근무제 도입 조건과 근로자대표 (0) | 2020.03.15 |
근로자 생활안정자금융자 기준완화. 코로나 대출 (0) | 2020.03.09 |
퇴직연금 DC형, DB형, IRP형. 중도인출 (0) | 2020.03.08 |
퇴직금 세금계산방법(퇴직연금 일시금 포함) (0) | 2020.03.0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