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~
오늘도 암호화폐에
관한 내용을 써보려고 합니다
오늘 주제는 다름아닌
지갑!
돈을 다루는데 있어
지갑은 땔래야 땔 수 없는 요소입니다.
pixabay : Денис Марчук
실물화폐에 있어서도
돈이 아무리 많이 있어도
안전하게 보관하고
사용하기 편하게 보관하는
지갑이 없으면
그 사용가치가 많이
떨어질 것입니다
흔히 우리가 지갑이라고 부르는 것은
지갑의 지갑이라고
불러야 할 것입니다
실질적인 지갑의 역할은
은행계좌와 카드가
하고 있기 때문입니다
암호화폐의 지갑도
은행계좌와 카드에
대응하는 것입니다
암호화폐를
사거나 팔고나서
마냥 거래소에 두는것이 아니라
안전하면서도 사용하기 편하게
보관할 수 있도록
지갑을 사용하고 있는데요
아직까지는 사용이 조금
까다롭지만
차차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
★종류
핫월렛
업비트 홈페이지
- 인터넷에 연결되어 실시간 거래가
가능한 지갑
- 통상 앱, 웹 형태
- 간편한 사용
- 각 코인별 앱이 있고,
여러 코인을 하나의 앱에서
보관할 수 있는 지갑도 있습니다
- 대표적인 것은 후오비, 바이낸스, 업비트
등 거래소의 웹 지갑 · 앱 지갑,
크립토월렛이 있습니다
콜드월렛
shop.ledger.com
-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하드웨어 지갑
- 통상 usb 등, 기기 형태
- 개인키를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
보안성이 높음
- 콜드월렛의 대표적인 제품은
레저 나노(Ledger nano)가 있습니다
하나의 매니저 프로그램에
여러 코인지갑을 다운받아
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
우리가 돈을 은행에서 만든 계좌에
넣어 놓듯이
암호화폐를 넣어놓는 지갑도
계좌번호에 해당하는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
입출금 할때 계좌번호를 적듯
이 주소를 적어 입출금을 할 수 있습니다
이 주소는 q1359Xodfg32T3qsf 같은 식으로
매우 복잡하기 때문에
QR코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
리플의 xrp의 경우 추가로
데스티네이션 태그가 필요합니다
'블록체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더리움 2.0 비콘체인. 페이즈0 토파즈 7월 예정. (0) | 2020.05.25 |
---|---|
글로벌 송금을 위한 솔루션 리플의 XRP (0) | 2020.05.20 |
블록체인 2.0 이더리움과 암호화폐 (1) | 2020.05.19 |
비트코인과 블록체인, 분산원장기술 (0) | 2020.05.17 |
리플 xrp 입출금 데스티네이션 태그 (0) | 2020.04.26 |
댓글